한형민 부분
-문법에 집착하지 말라
문법은 이미 존재하는 언어에 체계를 부여하려는 노력이다.
즉 언어가 먼저 있고 그 언어의 문법이 생겨난 것이지, 문법에 따라 언어가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언어습득은 그 언어에 자신을 많이 노출시키는 데서 시작한다.
-단어책 보지 마라
어휘책을 보고, 맥락 없는 단어를 외워 봐야 전혀 사용할 수 없다.
말할 수 있으려면 단어 단위가 아니라 문장단위로 학습하여 공책을 만든다. 쓰는 것보다 여러 번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쓰기 공부시 유의사항
좋은 글을 읽으며, 유용해 보이는 표현은 정리한다.
좋은 글은 문장 자체가 아니라 전체 흐름에 있다.
-말은 공부의 대상이라기 보다는 익숙해져야 할 대상이다. 귀와 머리를 혹사시켜가면서 의미를 이해하려 노력하고 받아써보고 모르는 표현이 나오면 정리해야 한다. 그래서 영어에 노출되는 절대시간이 '임계치'에 도달해야 한다. 입을 혹사시켜가면서 반복해 말하려 노력하고, 의므를 담은 말을 내 입, 내 혀를 이영해 입에 단내가 나도록 말해봐야 한다. 그래서 영어를 내 입으로 말해본 절대시간이 '임계치'를 찍어야 한다.
첫째, 받아쓰기를 하라.
둘째, 좋은 영어문장을 외우라
-미드, 영화, 소설, 신문, 잡지, 동화가 모두 우리의 공부 대상이다.
(1) 스스로 소화할 수 있는 역량에 따라 선별하여
(2) 소리만으로 의도된 의미를 파악하려고 노력(받아쓰기)
(3) 각 단어가 해당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맥락을 통해 익히고
(4) 소리를 따라하면서 머릿속에 의도된 의미를 되새김질하고
(5) 무수히 반복해서, 맥락만 떠올라도 말이 툭 튀어나오도록 연습하는 것
이것이 영어 잘하기라는 목표로 가는 최단거리다.
-사람들은 자신의 의지박약을 탓하지만 필자는 의지박약보다는 절실하지 않아서라고 생각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언어구사능력이지, 리딩도 스피킹도 리스닝도 라이팅도 아니다.
-꾸준히 가는 것이 가장 완벽한 학습법이다.
-잘 생각해 보면 영어는 못 하는 게 아니라 안 하는 것이다.
'일상 >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둑맞은 집중력(요한 하리) (2) | 2023.09.23 |
---|---|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0) | 2023.08.11 |
영어 글쓰기의 기본 - 윌리엄 스트렁크 2세 (0) | 2023.04.16 |
인스타 브레인(안데르스 한센) (0) | 2023.02.26 |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나탈리 골드버그) (0) | 2023.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