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터에서 위젯을 만들 때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만들수 있다.
Stateless Widget과 Stateful Widget이다.
Stateful Widget은 한 위젯 안에서 상태(데이터)를 가지고 해당 상태의 변화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UI를 변경시킨다.
반대로 Stateless Widget은 화면이 로드될 때 한번만 그려지는 State가 없는 위젯이고, 변경이 필요한 Data가 없으며 이벤트나 사용자 상호작용에 의해서 동작하지 않는다.
Stateless Widget에 비해 Stateful Widget이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메뉴화면처럼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필요없는 화면이라면 Stateless Widget, 검색창처럼 상호작용이 필요한 화면이라면. Stateful Widget 으로 구성해야 한다.
'코딩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rt 언어 문법 삼항 연산자 및 ?, ?? 사용 (0) | 2023.04.08 |
---|---|
[Flutter] Extends, Override, build, BuildContext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4.28 |
[Flutter] final 변수와 const 변수 (0) | 2022.04.27 |
[Flutter] 상태관리란 무엇인가 (0) | 2022.04.27 |
[Flutter] 변수명 앞에 붙은 underbar(언더스코어, 밑줄)의 의미 (0) | 2022.04.26 |
댓글